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06

새마을 금고 올해 연체율 1%P 넘게 인상, 연체율 6% 새마을금고의 2023년 상반기 말 연체율은 5.41%, 2024년 초 다시 6%대로 상승 작년말 5%대에서 한달만에 1%P 이상 상승 새마을금고의 연체율 상승은 부동산 경기 불황이 가속화된 지난 2022년 연말(약 3.59%)부터 새마을금고 중앙회는 무리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과정에서 부실이 커진 지역금고를 우량한 지역금고와 통폐합하거나 일부 채권을 매각하는 방식으로 연체율을 관리 3조원 가량의 부실채권 매각 - 1조원은 손자회사인 MCI대부, - 2조원은 캠코에 매각 캠코에 매각을 계획한 2조원 가량의 부실채권 중 1조원은 지난해말 매각을 완료했지만 연체율은 소폭 상승. 새마을금고는 나머지 1조원 가량의 채권도 매각을 서두르고 있지만, 캠코와 협상에서 난항 캠코 소관 부처인 금융위원회는 새마.. 2024. 2. 19.
높아진 전세가율 80%, 지방 아파트 39% '깡통전세' 의심되는 거래비중 집값하락, 전세값 상승으로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보증금 비율)이 반등 지방은 전세가율이 80% 넘긴 아파트가 40%, '깡통전세'가 의심되는 거래비중 서울은 월세 100만원 내는 아파트가 35%까지 증가 *출처, 국토부 실거래가 데이터 정리한 부동산 R114 지방 - 전세가율 80%이상인 아파트 거래 비중 2024년 1월 39.2% 2023년 1분기(36.6%), 2분기(29.7%), 4분기(36.4%) 수도권 - 전세가율 80%이상인 아파트 거래 비중 2023년 1분기(15.8%), 2,3분기(약10%), 4분기(약15%) 전국 - 전세가율 80%이상인 아파트 거래 비중 2023년 1분기(26%), 2,3분기(약19%), 4분기(약25%) 분기별 아파트 깡통전세 거래비중 깡통전세 : 전셋값이 매매.. 2024. 2. 19.
의대 증원 논란…한 눈에 살펴보는 '찬성 vs 반대' 의대 증원 논란…한 눈에 살펴보는 '찬성 vs 반대' ◇의대 입학정원 추이 (*전국 40개 의과대학) 2000년: 3507명(의약분업) 2003년: 3253명 2004년: 3156명(의·약·정 합의 의결 목표) 2005년: 3097명 2006년: 3058명 2024년: 3058명 (18년째 동결) 2025년: 5058명 (2000명 증원) ◇인구 1000명당 의사수 (*출처: 보건복지부, 2022, 단위: 명) 서울: 3.47 부산: 2.62 광주: 2.62 대전: 2.61 대구: 2.52 전북: 2.09 인천: 1.81 강원: 1.81 제주: 1.79 경기: 1.76 전남: 1.75 경남: 1.74 울산: 1.63 충북: 1.59 충남: 1.53 경북: 1.39 세종: 1.29 ◇의대 정원 증원 희망 .. 2024. 2. 19.
의사 의윈별 연평균 임금 순위. 소아과 최하위 연평균 임금 의사 의윈별 연평균 임금 순위. 소아과 최하위 연평균 임금 2024. 2. 18.
'테슬라 배터리' 양산 준비하는 LG엔솔 '테슬라 배터리' 양산 준비하는 LG엔솔 4680 배터리와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동향 4680 배터리의 특징- 테슬라 주도 개발. - 기존 1865, 2170 원통형 배터리보다 크기 증가. - 에너지 용량은 2170 대비 5배, 출력은 6배 증가. LG에너지솔루션의 4680 배터리 양산 계획## 충북 오창공장 - 2022년 5800억원 투자, - 오창2공장, 총 9기가와트시(GWh) 규모, 46시리즈 양산 설비 구축. ## 미국 애리조나 공장 - 2170 배터리 생산 계획을 4680으로 변경. - 46 시리즈 생산능력은 37GWh로 상향 조정( 당초 27GWh) - 2025년 말 양산이 목표 ## 중국 난징 공장 - 2170 대신 46 시리즈를 생산 - 하반기 양산 시작 예정. 삼성SDI와 SK온의.. 2024. 2. 18.
버핏의 가치투자와 손자병법의 '10가지 공통점' 버핏의 가치투자와 손자병법의 '10가지 공통점' ​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 첫 번째 투자원칙은 "절대로 돈을 잃지 마라" 두 번째 원칙은 "첫 번째 원칙을 절대 잊지 마라" ​ 최근 중국 상하이지수가 한때 2700선을 깨뜨릴 정도로 급락하면서 레버리지를 사용한 중국 투자자들이 버핏의 말처럼 원금을 지키고 시장에서 살아 남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절실히 깨닫고 있다. ​ 손자병법(孫子兵法)의 핵심 사상 투자에서도 그대로 적용 '먼저 승리하고 나중에 싸우기' (先勝而戰·선승이전) ​ 중국 사모펀드 충양(重陽)투자의 슈타이펑 파트너가 올해 출간 ​ '부의 전쟁을 잘하는 자가 말하다'(財富善戰者說) ​ 손자병법을 빌려서 버핏의 가치 투자가 왜 실패할 수 없는 위치에 설 수 있는지를 설명 버핏의 가치투자와.. 2024. 2. 18.
변호사 시장 양극화. 법률시장 규모 및 변호사 수 증가 추세 법률시장 규모 및 변호사 수 증가 추세 로스쿨 제도가 처음 만들어질 때에는 ‘법조시장 확대’를 예상했지만, 기대와 달리 변호사 시장은 레드오션 국세청과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변호사 수를 종합하면 2022년 변호사 한 명당 연간 매출은 2억 4632만 원 2012년 약 2억 4886만 원 특히 인플레이션 등 최근 급증한 물가를 고려하면 ‘실질소득’은 감소 #커진 시장보다 많아진 변호사 수 법률시장 규모 - 2012년: 약 3조 6000억 원 - 2021년: 약 7조 7000억 원 - 기간 내 2배 이상 확대 변호사 수 증가 - 2012년: 약 1만 4500명 - 2023년 상반기: 3만 3000명 이상 - 로스쿨 도입(2009년) 이후 변호사 수 급증 대형 로펌과 소형 로펌 간의 격차대형 로펌의 수입 - 예.. 2024. 2. 17.
클린스만 8년전 미국서도 위약금 64억, 한국 대표팀 감독직 경질 위약금은 70억 추정 클린스만의 재테크…“8년전 미국서도 위약금 64억 먹튀” 한국 대표팀 감독직 경질 위약금은 70억 추정미국 대표팀 감독. 클린스만 감독은 해임된 이후 실제 총 480만달러(약 64억원) 이상을 받았다.한국 대표팀 감독직 경질에 따른 위약금은 70억원 클린스만 사단의 코치진에게 줘야 할 돈까지 더하면 대한축구협회가 부담해야 하는 액수는 100억원 추산 클린스만 감독이 한국에서 받은 연봉은 29억원 안팎으로 추정 계약 기간은 2023년 2월 말부터 2026년 6~7월 예정 북중미 월드컵 본선까지였는데, 계약에는 ‘경질 시 잔여 연봉을 지급해야 한다’는 조항이 들어간 것 3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은 16일 서울 종로구 축구회관에서 열린 기자회견 클린스만 감독 경질을 발표 위약금 관련 질문에 “감독 해지 관련 사.. 2024.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