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09

미국 노동시장의 20년, 무엇이 달라졌을까? 미국 노동시장의 20년, 무엇이 달라졌을까? (2002~2024)2002년과 2024년, 단 20여 년 사이 미국의 일자리는 전혀 다른 얼굴을 하고 있다.만약 전체 노동자를 100명으로 환산한다면, 이들은 어떤 일을 하고 있을까?1. 사라지는 직업들: 제조·행정·판매2002년, 미국에서 가장 흔한 일자리는 **사무·행정(18명)**과 판매(10명), **제조업(8명)**그러나 2024년에 이 숫자는 각각 12명, 7명, 4명으로 줄어들었다.사무직은 자동화와 AI 도입으로 단순 행정 업무가 줄었고, 제조업은 글로벌 아웃소싱과 로봇 공정으로 크게 축소됐다. 판매 역시 온라인 쇼핑과 무인 결제 시스템 확산으로 감소세를 피할 수 없었다.2. 떠오르는 직업들: 의료·기술·물류반대로 가장 성장한 분야는 의료와 돌봄.. 2025. 8. 21.
아시아는 왜 이렇게 편의점이 많을까? ✍️ 요약 “아시아는 왜 이렇게 편의점이 많을까?”인구 때문만은 아니다. 고밀도 도시, 빠른 생활리듬, 기술 친화적 소비자, 그리고 진화하는 편의점 서비스.아시아의 편의점은 소매점이 아니라 ‘생활 인프라’다.아시아에서 편의점이 많은 이유는 단순히 인구가 많아서가 아니라, 도시 구조, 소비 습관, 노동 환경, 정책, 기술 수용력 등 복합적인 요인 때문입니다. 아래에 핵심적인 이유들을 정리해드립니다.⸻🏙 1. 고밀도 도시 구조와 소형 상권 문화 좁은 공간에 많은 인구: 서울, 도쿄, 타이베이 등 아시아 주요 도시는 인구 밀도가 매우 높습니다. 이로 인해 소형 점포라도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입니다.도보 생활권 중심: 자가용보다 대중교통 이용률이 높고, 도보로 이동 가능한 상권이 많아 편의점이 자연스럽게 자.. 2025. 8. 16.
1편: 「트럼프의 관세 전쟁 – 미국이 얻은 것과 잃은 것」 1편: 「트럼프의 관세 전쟁 – 미국이 얻은 것과 잃은 것」⸻트럼프의 관세 전쟁: 미국이 얻은 것과 잃은 것“무역전쟁은 쉽다. 이긴다.”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렇게 말했다. 그로부터 몇 년 후, 미국은 사상 유례없는 관세율 인상과 함께 국제 무역질서의 재편이라는 거대한 실험을 시작했다.⸻1. 미국이 얻은 것들① 무역적자 감소전체 무역적자: 6월 기준 전년 대비 16% 감소대중국 무역적자: 21년 만에 최저치중국과의 무역에서 미국이 입는 손해 규모를 줄였다는 점은 트럼프 정책의 가장 분명한 ‘성과’로 꼽힌다.② 관세 수입 증가2025년 1~7월 관세 및 일부 소비세 수입: 1,520억 달러 (약 211조 원)전년 동기 대비 약 2배 증가이는 연방 재정적자의 일부를 보완하며, 관세가 실질적인 세금 수단.. 2025. 8. 8.
팀 쿡 CEO는 “미국 전역에서의 투자를 4년간 6,000억 달러로 늘릴 것” : 애플이 ‘American Manufacturing Program’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미국 제조 투자 프로그램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PR이 아니라, 미국 산업 생태계 전반에 중요한 전략적 시사점을 담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과 의미를 아래와 같이 정리합니다.⸻🏗️ 1. 총 투자금 확대: $500B → $600B (4년간)팀 쿡 CEO는 “미국 전역에서의 투자를 4년간 6,000억 달러로 늘릴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단순한 공장 확장이나 고용 창출에 그치지 않고, 공급망 재편과 첨단 부품 내재화에 방점이 찍힌 발표입니다.⸻📱 2. 아이폰·애플워치 유리 전면, 100% 켄터키산 • Corning사와의 협력으로, 아이폰과 애플워치에 쓰이는 커버 유리가 전량 켄터키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으로 전환됩.. 2025. 8. 7.
🎌 자포니즘, 단순 유행이 아니라 ‘미의 혁명’ 🎌 자포니즘, 단순 유행이 아니라 ‘미의 혁명’1. 왜 그 시기였을까?🛳️ 일본 개항과 세계화 초기 1854년 미·일 강제 개항 → 유럽에 일본 예술품 홍수처럼 들어옴특히 **우키요에(浮世絵)**는 싸고, 가볍고, 대량 인쇄가 가능해서 일반 상류층도 수집 가능1867 파리 만국박람회에서 일본관 대성황 → 이후 상점, 화랑, 디자이너, 화가들이 일본 미술 수입에 열 올림📦 예술 공급망까지 바뀜 오페라 극장 장식, 벽지, 도자기, 커튼, 부채, 잡지까지 일본풍으로 물들며 ‘라이프스타일’ 전체가 자포니즘화됨 특히 프랑스와 영국,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퍼졌고, 미술을 포함해 그래픽 디자인, 건축, 패션에까지 영향을 끼침⸻출처 https://x.com/tokttokhada/status/1952105425207.. 2025. 8. 4.
왜 유럽 한복판에서 고흐가 일본 그림을 그리게 되었는가? 왜 유럽 한복판에서 고흐가 일본 그림을 그리게 되었는가?그 배경엔 19세기 중후반 유럽을 휩쓴 ‘자포니즘(Japonisme)’ 열풍이 있습니다.1. 시작은 개항과 무역 1853~1854년: 미국 페리 제독의 강제 개항으로 일본이 서구에 문을 염이후 **일본 미술품(도자기, 목판화, 기모노, 부채, 칼 등)**이 대량으로 유럽에 유입파리 만국박람회(1867) 이후 일본 미술이 본격적으로 유럽 상류층과 예술가 사이에서 인기 급증2. ‘우키요에’의 미적 혁명 일본 목판화 ’우키요에(浮世絵)’는 그 당시 유럽 화가들에게 신선한 충격 특히 투시 원근법 대신 평면적인 구도, 강렬한 색채와 윤곽선, 자연과 일상의 조화, 비대칭적 화면 구성이 인상파들에게 혁신으로 다가옴출처 : https://x.com/tokttokh.. 2025. 8. 4.
고흐의 자화상 ’귀에 붕대를 감은 자화상‘한 컷에 “자포니즘”이 농축 그림은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의 유명한 자화상 중 하나인 **〈귀에 붕대를 감은 자화상(Self-Portrait with Bandaged Ear, 1889)〉**입니다.그림 속 배경에 우키요에(浮世絵) 작품이 걸려 있는 것이 인상적이죠. 그만큼 고흐가 일본 미술에 깊이 매료되었음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특히 눈에 띄는 요소:배경 오른쪽 포스터: 이는 일본 화가 우타가와 히로시게(歌川広重) 또는 키타가와 우타마로 등의 작품 스타일을 연상시키는 우키요에 복제본입니다. 일본 전통 복장을 입은 인물과 후지산(추정)이 있는 풍경은 전형적인 우키요에 요소죠. 단순화된 색면과 대담한 윤곽선: 고흐는 우키요에의 색채 분할, 윤곽선 강조, 평면적 구도 등에서 큰 영향을 받아 자신의 화풍에 적극 반.. 2025. 8. 4.
“노인이 청년보다 더 많이 일한다는 나라” – 한국 노동시장의 불편한 진실 “노인이 청년보다 더 많이 일한다는 나라” – 한국 노동시장의 불편한 진실일터로 내몰린 고령층… 65세 이상 고용률 40% 돌파OECD 평균 13.6%보다 크게 높아경기 부천의 이모(69)씨는 요양보호사로 8년째 일하고 있다.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찾아가 하루 3시간 돌보는 일은 고되지 않지만, 그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 자녀들은 독립했지만, 월 100만 원도 안 되는 연금으로는 생활이 불가능하다. 이 씨는 “같이 일하는 사람들 보면 다 60~70대”라며 “몸이 따라주는 한 계속 일할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이모씨의 사례는 한국 고령자 노동 현실의 단면을 그대로 보여준다. 올해 2분기, 65세 이상 고용률은 **40.8%**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통계청이 해당 데이터를 집계하기 시작한 19.. 2025. 8.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