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기차 주행중 동력상실 ICCU 통합충전제어장치, 통합전력제어장치

by 좋은사람200 2023. 7. 21.
반응형

최근 전기차 동력상실이란 이슈가 많이 나온다. 내연차의 경우 엔진결함등으로 주행을 못할텐데.
전기차에서 등장하는 새로온 용어 동력상실
 
현대차 아이오닉 전기차, 기아  EV9, 최근 BMW ix3 등 전기차 모델까지 국내외 차량들에서 발생한다

ICCU(통합전력제어장치)란 ?


‘통합충전제어장치(ICCU·Integrated Charging Control Unit)
- ICCU는 배터리 등 여러 장치들을 제어하는 모듈러 기반 통합 부품으로 BEV에서 배터리패키지 다음으로 중요
- 하부에 평평하게 깔린 배터리 패키지에 대한 충전, 효율을 제어
- 차량 내 전기를 외부 220V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V2L용 저전압 직류 변환장치(Low voltage DC Converter), 12V 배터리 충전용 고전압 배터리 충전(On Board Chager) 등을 통합 제어
- EV 곳곳에 전기를 공급하는 최상위 제어 ‘헤드 모듈’
- ICCU는 현대모비스가 현대차그룹에 전량 공급


관련글) 차량용 반도체 종류 공급 특성 업체 현황, 차량용 반도체의 모든 것 5대 차량용 반도체 기업

차량용 반도체 종류 공급 특성 업체 현황, 차량용 반도체의 모든 것  5대 차량용 반도체 기업

차량용 반도체란 차량용 반도체는 자동차가 스스로 운전하거나 전기로 움직일수 있는 각종 시스템을 제어하는 반도체다 차량용 반도체는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연산, 추론등의 목적으로 제작

meowk.tistory.com

 

ICCU 오작동 사례


국내외 ICCU 오작동 사례를 종합해보면 저전압 직류 변환장치인 LDC와 OBC 사이에서 순간 과전류 문제가 발생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관련 사례가 수차례 이어진 2022년형 아이오닉5에 대해 조사를 진행 중.
- 2023냔 7월에, 미국에서 판매한 기아 ‘EV6’ 2022년형에서도 같은 이슈가 주장돼 예의주시

동력상실 증상

 
동력상실은 말 그대로 전기차가 중행중 동력을 상실해 멈춰버리는 이상 증상이다.
현대차이 전기차는 안전모드로 전환돼 잠시 동안 주행하다 멈춘다고 한다

전력을 제어하는 통합충전장치 혹은 통합전력제어장치에서 문제가 생겼다고 한다.
* BMW 부품명 CCU(통합충전장치), 
* 현대차 부품명은 ICCU(통합전력제어장치)

현대차 전기차 전용플랫폼 E-GMP, ICCU
현대차 전기차 전용플랫폼 E-GMP, ICCU

 

 

BMW 전기차 4개차종 17대 리콜

4개 차종은(iX, iX3, i4, i4 M50), 판매된 총 17대
차량들 증상이 충전이 중단되거나, 시동이 안걸리거나, 주행중 고전압 시스템이 차단돼 차량이 멈춘다
원인이 잘못 조립된 회로기판으로 인해 통합충전유니트를 전면교체토록 국토부가 BMW와 논의중이다

 

현대 전기차 6개 차종 136,000대 무상수리

 

현대차그룹 유사증상이 발생해 무상수리 예고한적 있다.
현대차 아이오닉5, 아이오닉6, 제네시스 전기차(GV60, GV70, GV 80), 기아EV 6 등 6개 차종 136,000대
현대차는 차가 즉각 멈추지 않고, 경고가 나온뒤 20~30분 뒤 주행이 가능하다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무상수리를 내달 8월부터 국내에서 단행

무상수리 vs 리콜 자동차 차이점 알아보기

무상수리 vs 리콜 자동차 차이점 알아보기

리콜과 무상수리의 차이는 뭘까? 이 둘은 유사해 보이지만 확연하게 다른 개념이다. 가장 큰차이는 리콜과 무상수리의 차이점은 ‘강제성’ 자동차의 제작 결함으로 운전자가 위험에 처하거나

meowk.tistory.com

 



현대차 기아는 2022년 9월부터 2023년 5월까지 아이오닉 5, EV6 ICCU 문제로 무상수리는 4번 진행했다.
전문가들은 동력상실 원인을 ICCU(통합충전제어장치) 관련 문제로 추정

미국 도로교통안전국은 EV6 '동력 상실' 관련 신고를 11건 접수해 조사에 착수한 사실을 최근 공개(2023년 7월 8일)
기아 미국법인은 국내와 마찬가지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통합충전제어장치 교체를 진행

 
관련글) 무상수리 vs 리콜 자동차 차이점 알아보기

무상수리 vs 리콜 자동차 차이점 알아보기

리콜과 무상수리의 차이는 뭘까? 이 둘은 유사해 보이지만 확연하게 다른 개념이다. 가장 큰차이는 리콜과 무상수리의 차이점은 '강제성' 자동차의 제작 결함으로 운전자가 위험에 처하거나 불

meowk.tistory.com



미국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2022년형 현대차 아이오닉5 동력 상실 문제를 조사, NHTSA는 30여건의 불만을 접수 (2023년 6월 17일 AP통신 보도)
이를 바탕으로 3만9500여대가 현재 동일한 문제를 겪고 있을 것으로 추정
현대차의 아이오닉5의 2022년형은 미국 내에서 약 3만9500대가 운행
NHTSA 당국은 예비조사를 시작하고 12볼트 배터리 조사를 현대차에 지시,
전원 트랜지스터 손상으로 인한 배터리 기능 이상 여부를 파악하라는 것이다.

 
ICCU에 일시적 과전류가 흐르면서 저전압 직류 변환장치(LDC)에 이상이 발생해 주행중 동력이 상실되는 것으로 추정
LDC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를 자동차 표준전압인 12V 저전압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하는데 해당 장치내 부품이 높은 전앞을 견디지 못해 이상이 생긴것으로 추정
 
*ICCU(통합전력제어장치)는 차에 있는 고전압 배터리와 보조배터리 모두 충전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현대차의 통합 충전 시스템이다.
전기차의 전기를 220V 가정용 전기로 변환해 뽑아쓰는 V2L 기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동안 전기차는 단방향 충전만 가능한 OBC가 적용됐다. 
 
 

기아 EV9도 동력상실 발생 원인 파악중

2023년 7월 EV9 신차 인수 뒤 이틀만에 발생, 
2023년 6월부터 판매를 시작한 EV9, 6월에 약 1300대 판매

기아가 최근 출시한 3열 전기 대형 SUV인 ‘EV9’도 이번 무상수리 대상에 포함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기아 EV9





리콜과 무상수리의 차이는 뭘까? 우선 리콜은 자동차가 안전기준에 부적합하거나 제작에 결함이 있는 경우 당국이 제조사에 내리는 명령으로 자발적 리콜과 강제적 리콜로 나뉜다. 자발적 리콜은 제조사가 차량을 점검하는 과정에서 결함을 발견해 당국에 보고하는 것이다. 또 강제적 리콜은 국토교통부가 결함 조사를 거쳐 제조사에 명령하는 것이다



 
관련뉴스)

[단독] BMW 전기차 4종 리콜한다···달리다가 동력상실로 바로 멈춰

국토교통부가 BMW 전기차 4종에 대해 시정조치(리콜)를 한다. BMW 전기차 중 일부 모델이 주행...

www.khan.co.kr

 

'국내·외 논란' ICCU, 현대차·기아 전기차 주행 중 동력상실 - 머니S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전기차가 주행 중 동력상실 문제로 무상수리를 시작한다. 미국에서는 같은 이유로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서 조사를 시작한 바 있다.7일 현대차-기아에 따르면 이번

www.moneys.co.kr

 https://n.news.naver.com/article/144/0000899733?sid=103

[단독] 기아 EV9도 '주행 중 동력 상실' 발생..."원인 파악 중"

[앵커]YTN은 이번 달 초 현대차·기아 전기차 4개 차종에서...

www.ytn.co.kr

 

현대차 아이오닉5, 동력 상실 문제로 美 당국 조사…약 4만대 결함 추정 | 아주경제

현대차아이오닉5가미국 내 일부 차량에서 동력 상실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현지 당국이 조사에 나섰다.17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도로교통안전국(NHTSA)은2022년형 현대차 아

www.ajunews.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