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의 성장 역사: $6억 → $3.5조 달러 기업으로
엔비디아의 성장 역사: $6억 → $3.5조 달러 기업으로
1. 창립과 초기 GPU 개발 (1993~2001)
• 1993년: 엔비디아(NVIDIA) 창립
• 1995년: 첫 번째 칩 NV1 출시
• 1997년: 첫 상업적으로 성공한 GPU RIVA 128 출시
• 1999년: 엔비디아 IPO (기업가치 $6억)
• 1999년: 최초의 GPU GeForce 256 출시
• 2001년: GeForce 3로 프로그래머블 셰이더 도입
2. GPU 컴퓨팅과 데이터센터 진출 (2006~2012)
• 2006년: CUDA 출시, GPU 컴퓨팅 시대 개막
• 2007년: Tesla GPU 출시 (HPC용 GPU)
• 2009년: Fermi 아키텍처 출시
• 2012년: Kepler 아키텍처 출시, AlexNet이 엔비디아 GPU와 CUDA를 사용해 ImageNet 대회 우승
![](https://blog.kakaocdn.net/dn/MS1yb/btsMebtED5p/hQi6PMjZ3XK5Qz7kPAb2c1/img.jpg)
3.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 강화 (2014~2020)
• 2014년: Maxwell 아키텍처 출시
• 2015년: OpenAI 설립
• 2016년: Pascal 아키텍처 출시
• 2017년: Volta 아키텍처 출시, 연매출 $100억 돌파
• 2018년: Turing 아키텍처 출시, AI 및 실시간 레이 트레이싱 도입
• 2019년: Ampere 아키텍처 출시
• 2020년: Mellanox 인수, 인공지능 및 데이터센터 네트워킹 강화
4. AI 붐과 엔비디아의 폭발적 성장 (2022~2024)
• 2022년: ChatGPT 출시, AI 수요 폭증
• 2023년: DGX Cloud 출시, AI 서버 시장 주도
• 2024년: 분기 매출 $350억 돌파 (6분기 만에 5배 성장)
핵심 요약
• 1993년 창립 이후, GPU를 개발하며 성장
• 2006년 CUDA 출시 이후 AI 및 데이터센터 시장 진출
• 2012년 AlexNet이 GPU를 사용하며 AI 혁신 가속화
• 2022년 ChatGPT 등장 후, AI 붐으로 시총 $3.5조 달러 돌파
👉 AI 시대의 최대 수혜 기업, 엔비디아의 질주는 계속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