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8일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SNE리서치
2023년 1월부터 7월까지 비중국 시장 배터리 사용량 LG에너지솔루션과 CATL의 점유율 격차는 0.6%
전년 동기 7.9% 격차
CATL 109.3%까지 성장
한국배터리 3사 합산 성장률(103.5%)보다 많은 수치
![](https://blog.kakaocdn.net/dn/dcchj5/btstwG7bYAy/WZboKzKmSO6pU6zUDDUZb0/img.jpg)
BYD는 441.6%까지 급성장
BYD는 완성차와 배터리 모두를 생산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BYD는 155만4천대, 판매 1위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92.7% 증가
BYD는 중국 내수 시장에서 판매 호조
유안 플러스(Atto3) 모델의 해외 판매량이 급증
시장 점유율 역시 20% 돌파
자국산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에만 보조금 지원 정책 등 내수로 세를 키운 중국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을 본격 공략
현대자동차, 기아 32만대 전기차 판매.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
시장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1.4%p 하락한 4.3%
5위에서 7위로
세계 글로벌 배터리 시장이 고가인 삼원계(NCMA,NCM)에서 저가인 리튬인산철(LFP)로 전환하는 추세.
한 업계 관계자는
"CATL은 창사이래 LFP배터리라는 한 우물만 줄곧 파왔다"
"전기차 침투율이 극히 떨어지는 요즘 가격 경쟁력이 높은 LFP배터리로 판도가 뒤집히는 추세"
에너지밀도가 낮다는 LFP배터리의 편견도 이제 많이 달라졌다
CATL은 2023년 8월. 10분 충전에 최대 400KM를 갈 수 있는 'LFP 4C 배터리 ‘션싱 슈퍼패스트 차징 배터리’
회사는 하반기부터 양산에 들어가고 내년 상반기부터 상용화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04497?sid=105&lfrom=kakao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