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룡의 입시포인트] 2024학년도 수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 분석
- 유성룡 입시분석가, 1318대학진학연구소장, ST Unitas 교육연구소장
전체 응시자 50만4588명 (전년보다 3,442명 감소)
고3 재학생 32만6646명, 졸업생 15만9742명 응시
1
고3 재학생 감소, 졸업생, 검정고시 출신 등 증가
2023학년도 전체 응시자 50만4588명 (전년보다 3,442명 감소)
2022학년도 50만9821명
2021학년도 49만3434명
<수능시험 응시 인원 : 지원 자격별, 성별>
![](https://blog.kakaocdn.net/dn/xIKJD/btsugRsxzGB/ZDSbvriK0dkMTdPfw1RQcK/img.jpg)
1) 2024학년도 수능시험 응시자 변화 및 선택 과목 추세
1. **응시자 수 변화**:
- 2024학년도 수능시험의 가장 큰 변화
- 2024학년도 수능 응시자: 50만4588명 (전년 대비 3442명 감소).
- 지난 3년 간 수능 응시자 수:
2021년 - 49만3434명,
2022년 - 50만9821명((5233명이 감소)
2023년 - 50만8030명.
- 2024학년도 정시 모집 경쟁률 예상 상승:
모집 인원 6만6300명 (전년 대비 5.2%(3611명) 감소).
2. **응시자 유형의 변화**:
- 졸업생 비율 31.7% (전년 대비 3.7%(1만7439명) 증가)
- 1998년 이후 최고 비율.
- 검정고시 출신 응시자 1만8200명 (전년 대비 2712명 증가).
3. **선택 과목 변화**:
- 국어: '언어와 매체' 38.9% (전년 대비 4.5% 증가), '화법과 작문' 61.1%.
- 수학: '미적분' 49.2% (전년 대비 5.5% 증가), '확률과 통계' 46.7%, '기하' 4.13%.
4. **선택과목에 따른 전략 및 예상**:
- 선택과목 난이도에 큰 차이가 없다면, 국어는 '화법과 작문', 수학은 '미적분' 선택 추세 예상.
- 인문계 모집단위 지원의 눈치작전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
**주의사항**:
- 2024학년도 수능 응시자 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정시 모집에서의 경쟁률은 높아질 것으로 예상.
- 선택과목 전략이 중요하며, 해당 영역에서의 점수 획득 더욱 중요.
2.
2024학년도 수능시험의 영역별 응시 현황
>>응시자들의 선호도와 전략을 파악하는 데 도움
![](https://blog.kakaocdn.net/dn/chqfdM/btsubIKgeru/DTCXGs48xwKkpZdVLV8ysk/img.jpg)
1. **필수 영역 응시자 수**:
- 한국사: 100.0%
- 국어: 99.4% (50만1321명)
- 영어: 98.8% (49만8502명)
- 탐구: 97.6% (49만2519명)
- 수학: 94.7% (47만8083명)
- 제2외국어·한문: 15.6% (7만8849명)
2. **탐구 영역 응시자 분류**:
- 사회·과학탐구: 98.8% (48만7069명)
- 직업탐구: 1.1% (5450명)
3. **사회탐구 선택 과목별 응시자**:
- 생활과 윤리: 33.1%
- 사회문화: 29.0%
- 윤리와 사상: 8.9%
- 한국지리: 7.8%
- ... (기타 과목들)
4. **과학탐구 선택 과목별 응시자**:
- 지구과학Ⅰ: 34.8%
- 생명과학Ⅰ: 32.9%
- 물리학Ⅰ: 14.3%
- ... (기타 과목들)
5. **직업탐구 영역**:
- 성공적인 직업생활 (필수 공통 과목): 95.3%
- 공업 일반: 32.8%
- 상업 경제: 32.2%
- ... (기타 과목들)
6. **제2외국어·한문 영역 응시자**:
- 일본어Ⅰ: 29.0%
- 한문Ⅰ: 22.5%
- 중국어Ⅰ: 15.9%
- ... (기타 과목들)
3
2024학년도 수능시험 응시자 지원 자격별 요약
> 고3 재학생 64.7%, 졸업생 31.7%, 검정고시 졸업자 등 3.6% 비율로 응시
1. **고3 재학생:**
- 응시자 수: 32만6646명 (감소 2만3593명, 2023년도 비교)
- 응시 비율: 64.7% (4.2%포인트 감소, 2023년도 비교)
- 감소 이유: 학령인구 감소
2. **졸업생 (재수생 포함):**
- 응시자 수: 15만9742명 (증가 1만7439명, 2023년도 비교)
- 응시 비율: 31.7% (3.7%포인트 증가, 2023년도 비교)
- 증가 이유: 자연계 중·상위권 졸업생 및 반수생의 수능시험 응시 증가
3. **검정고시 출신자:**
- 응시자 수: 1만8200명 (증가 2712명, 2023년도 비교)
- 응시 비율: 3.6% (0.5%포인트 증가, 2023년도 비교)
**전망:**
- 2024학년도 정시 모집에서 자연계 중·상위권 대학의 경우 졸업생 강세가 예상됨.
**실제 응시 예측:**
- 2024학년도 11월 16일 수능시험 예상 응시자 수:
44만4000명 (기존 5년 동안 실제 수능시험 응시 비율이 약 88.0%였기 때문)
**과거 데이터:**
- 2019학년도: 59만4924명 응시 → 실제 53만200명 응시 (89.1%)
- 2020학년도: 54만8734명 응시 → 실제 48만4737명 응시 (88.3%)
- 2021학년도: 49만3434명 응시 → 실제 42만1034명 응시 (85.2%)
- 2022학년도: 509,821명 응시 → 실제 44만8138명 응시 (87.9%)
- 2023학년도: 50만8030명 응시 → 실제 44만7669명 응시 (88.1%)
![](https://blog.kakaocdn.net/dn/UP3gQ/btsubK2qH9c/ZXEZsYcHjlRKzy2lJUHJiK/img.jpg)
4
2025년도 수능응시생 고득점 전략 요약
>> 위의 정보를 기반으로 2025년도 수능응시생들을 위한 유형별, 과목별 고득점 전략을 요약
1. **응시자 유형별 전략**
- **재수생 및 졸업생**:
- 2024년도에 졸업생 응시자 비율이 3.7% 증가하여 전체 응시자 중 31.7%를 차지했음을 고려하면, 재수생 및 졸업생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추가적인 학습 전략이 필요합니다.
- 정시 모집에서 지원 경쟁률이 높아질 것이므로, 수능 점수와 학생부 평가, 그리고 면접 등 다방면에서의 준비가 필요합니다.
- **검정고시 출신자**:
- 2024년도에 검정고시 출신 응시자가 2712명 증가한 점을 고려하면, 검정고시 출신자들은 수능 점수 향상을 위해 특정 과목에 집중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 대학의 정시 모집 인원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대학별 입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유리한 모집단위로 지원하는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2. **과목별 전략**
- **국어**:
- '언어와 매체' 응시자가 크게 증가했으므로, 이 영역에 대한 깊은 이해와 연습이 필요합니다.
- 현행 수능에서의 선택 과목 간 난이도가 큰 차이가 없다면, '화법과 작문'을 선택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 합니다.
- **수학**:
- '미적분' 응시자 수가 크게 증가하였으므로, 이 영역의 문제 풀이 능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확률과 통계'와 '기하' 영역도 무시할 수 없으므로, 균형 잡힌 학습을 통해 여러 영역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3. **일반 전략**:
- 정시 모집에서의 지원 경쟁률이 높아질 것이므로, 다양한 대학과 학과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고, 자신의 강점과 연계된 지원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 선택 과목에 따른 점수 산출 방식의 변화나 기타 수능제도의 변화에 대비하여, 주기적으로 공식 안내를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전략을 바탕으로, 2025년도 수능응시생들은 체계적인 학습 계획을 세우고, 꾸준히 준비해나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출처
![](https://blog.kakaocdn.net/dn/cFqG7m/btst6qcsnho/KslAsn1VO2eKkkqFHyqhn0/img.jpg)
[유성룡의 입시포인트] 2024학년도 수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 분석
[유성룡의 입시포인트] 2024학년도 수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 분석
edu.chosun.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