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천연가스 유통구조(LNG, PNG)

by 좋은사람200 2023. 2. 20.
반응형

1

천연가스 :

지구에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연소성 가스로, 주로 유전(油田)에 석유와 함께 매장됐거나 가스전에서 뿜어져 나온다.

인류는 드릴로 천연가스를 추출해 화학, 난방, 발전 등 다양한 산업의 원료로 사용

 

2

천연가스는 '연소성 가스'다. 일반적인 방식으로는 운송할 수 없으며, 특수한 가공 처리를 거쳐야만 한다.

 

 

3​

1) PNG(파이프 천연가스)

- 가장 저렴한 방식은 채굴한 가스를 운송용 배관 안에 흘려 넣어 전달

- PNG는 가스 채굴지와 가스를 받는 도시 간 거리가 가까워야 운송 가능.

- PNG : 배관 파이프 하나로 가스를 공장, 가정까지 연결

2) LNG(액화 천연가스)

- LNG는 기체 상태의 천연가스를 영하 162도로 냉각, 그 부피를 무려 600분의 1로 압축해 액화

-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나라가 천연가스를 수입하려면 PNG와는 다른 방식을 이용.

- 일본, 한국, 스페인, 영국 등에서 주로 이용.

- LNG : '연료 가공', '선박('LNG선') 운임', 'LNG 터미널 저장', 'LNG의 가스화' 네 단계 추가 거쳐야 한다.

그만큼 운영 비용과 자본 지출이 커진다.

 

건설 중인 울산 LNG 터미널. 극저온 상태에서만 유지될 수 있는 LNG는 LNG선착장에서 대형 터미널로 옮겨져 저장된다. / 사진=연합뉴스

 

4

이 때문에 LNG 수입국의 가스값은 국제 가스 가격과는 판이하며, LNG 수입국의 위치에 따라서도 구별된다.

나라마다 운임과 터미널의 효율이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일례로 한국의 가스 가격 벤치마크는 'JKM(일본-한국 마커) LNG'가 훨씬 적절하다.

동북아시아로 향하는 LNG 실물의 가격 추이를 반영한 지표다.

5

독일을 비롯한 중부 유럽의 '에너지 위기' 또한 이런 가스 시장 구조에 기인

러시아산 PNG에 의존하던 독일 전쟁 후 러시아 가스 수입을 끊었다.

독일엔 LNG 터미널이 없으므로, 상대적으로 발달한 LNG 터미널을 갖춘 스페인이나 영국 인프라를 이용해 가스 수입.

삼성중공업 LNG선. 액화 형태의 천연가스를 극저온 화물창에 저장한다. / 사진=연합뉴스

6

유럽 가스 시장의 큰손인 독일의 수요가 갑자기 LNG로 몰리자

유럽 LNG 가격도 덩달아 급등, 러시아 PNG를 쓰지 않던 나라들도 비용을 감내해야 했다.

파편화된 가스 시장은 조금만 수요가 몰려도 병목 현상이 발생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