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합계출산율이 0.72명으로 역대 최저, 2023년 출생아수는 23만명, 사망자수 35만명, 인구는 약 12만명 자연감소.
즉 남녀 2명이 0.72명의 아이를 낳는다는 의미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 8년 전인 2015년 출생아수 438,400명의 50% 수준
전년 대비 출생아 수는 △2016년(-3만2200명) △2017년(-4만8500명) △2018년(-3만900명) △2019년(-2만4100명) △2020년(-3만300명) △2021년(-1만1800명) △2022년(-1만1400명)에 이어 8년 연속 감소
2차 세계대전 이후 개발도상국에서 인구 증가는 경제성장을 억제하는 위협 요인
한국은 한국전쟁 직후 출생아수 폭증
1995년~1963년생 '베이버 부머' 세대로 출생아수 증가
1970년 합계출산율 지표 4.53명(통계청)
1960년 합계출산율 6명(당시 개발도상국중에서 최고 수준)
1950년 가족계획사업, 미국 선교사 등 민간인 중심으로
가족계획사업으로 출산율 하락
3.3.35캠페인(3살 터울로 3명만, 35살 이전에 낳자)
1962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정부가 가족계획사업 본격 추진
행정력을 동원(피임약,피임기법 보급)하여 국민계몽
[출산정책에 따른 시대별 포스터]
세 자녀만 35살 이전에(1960년대), '덮어놓고 낳다보변 거지꼴을 못면한다'
두 자녀 갖기 권장(1970년대), '딸, 아들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
한 자녀 가정 혜택(1980년대), '둘도 많다!'
다자녀 갖기 권장(2005년~현재), '하나는 외롭습니다',
1970년, 출산율 4명대(1974년, 3.77명)
1971년, 출산율 6명(출생아수 102만 4773명), 1960년대 초반과 비슷한 수준.
1970~1980년대 출산억제 정책
1960년 정부의 가족계획사업 종료(출산율1.57명)
1984년 (1.74명)이후 10년간 1.7명 내외의 낮은 출산율 고착화, 이때 출산억제 정책의 전환점 맞이함
2005년부터 출산율 하락 방어를 위해 저출산 대책 시행
2015년 출산율 소폭 등락
2016년 출산율 하락세,
2018년(0.98명)이후 현재까지 1명대를 회복 못함
2023년 합계출산율 0.72명, 역대 최저치
0명대 출산율은 전쟁이나 체제붕괴가 있을때 가능한 출산율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 출산율 1.58명(2021년)
1명 이하는 한국이 유일
한국, 첫째아 출산 연령 33살(2023년), OECD 평균 29.7살(2021년)과 차이가 크다
니혼게이자 신문, 미네기시 히로시 편집위원
- 일본 젊은 세대는 '아이를 낳고 싶지만 낳을수 없다'
- 한국은 여성을 중심으로 '결혼하고 싶지 않다, 아이를 갖고 싶지안하다' 라는 사람이 늘고 있다
실제 여성들 사이에서 경쟁과 불평등이 심화되고, 성평등이 부재한 우리나라가 아이를 낳을 만한 사회가 아니라는 인식이 강하다. 자녀 양육 환경을 지원하는 대책으로 성과를 내기 어려운 이유
[시도별 출생아수 및 합계 출산율(2023년)]
학령인구 6~21세(714만 7천명), 2024년 기준
- 고등학생 : 126만2348명
- 중학생 : 134만8428명
- 초등학생 : 266만 4278명
- 출생아수 : 24만9186명(2022년기준), 월간 16,253명(2023.12월기준)
- 유치원 원아수 : 55만 2812명
- 연령별 인구 : 3632만 7585명
합계출산율 1명당 0.778명(2022년기준)
*합계출산율 : 한여자가 가임기간(15~49세)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수
관련 내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