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이탈리아 이드라(IDRA)와 공동 개발
무게 420t, 압력 세기는 6000t급인 기가프레스 설비를 2020년 캘리포니아 공장에 도입
이 설비는 금형 틀에 알루미늄 합금 소재를 넣어 초대형 프레스 장비로 후면 언더보디 등의 차체를 용접 없이 한 번에 찍어낸다.
이를 통해 70개 금속패널을 5000여 곳 용접해야 차체 하나를 만들던 것을 극단적으로 단순화할 수 있다.
테슬라는 이 공법으로 생산 속도를 높이면서도 비용은 40% 가까이 절감
로이터통신이 올해 초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차량 1대당 순이익
테슬라가 9574달러(약 1268만 원)
제너럴모터스(2150달러),
비야디(1550달러),
도요타(1197달러) 등보다 월등히 높다.
현대차(927달러)의 10배 이상이다.
테슬라는 사이버트럭을 생산할 텍사스 공장에는 캘리포니아보다 큰 9000t급 설비를 설치 중
![](https://blog.kakaocdn.net/dn/5yMiJ/btstq0rF179/P5K2PUZ1L62GLNbLClffK1/img.jpg)
최소 공간만 활용하는 셀 방식도 관심
컨베이어벨트를 대체하는 셀 방식 공법도 업계가 새롭게 주목하는 생산 형태다.
영국 전기 상용차 스타트업인 어라이벌은 물류센터 형태의 작은 공장(마이크로팩토리)을 영국과 미국 등에 만들고 있다.
대규모 부지가 필요한 컨베이어벨트 대신 무인 운반대(AGV)로 지정된 셀(Cell)로 부품을 운반한다.
가로와 세로가 각각 20m 길이의 이 셀에서 조립 로봇들이 차 한 대를 완성시키는 방식이다.
최소한의 공간에서 여러 차종을 만들어낼 수 있다.
현대차그룹은 2025년 하반기(7∼12월) 가동 목표로 경기 화성시에 짓고 있는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공장에 셀 방식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공장에 옵션 장착장(셀)을 따로 마련해 숙련된 소수 직원이 차 한 대를 만들 때까지 모두 총괄하는 방식이다.
이항구 자동차융합기술원장은
“헨리포드식(컨베이어벨트) 공정 혁신이 나온 이후 100년간 꾸준히 높아지던 자동차 생산 효율성은 2010년을 기점으로 정체돼 왔다”
“테슬라의 공정 혁신은 미래 차 전환기 공정 혁신 붐이 일게 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0/0003519514?sid=101
‘비용 40% 뚝’ 테슬라發 공정혁신, 전기차업계 확산
미국 테슬라발(發) ‘공정혁신’이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테슬라가 지난해 말부터 대대적인 가격 인하 정책을 펼칠 수 있었던 것도 ‘기가캐스팅’이라 일컬어지는 생산
n.news.naver.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