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반도체 업황 부진 글로벌 반도체 기업설비투자 규모 감소세

by 좋은사람200 2023. 8. 22.
반응형

반도체 기업의 설비투자 작년보다 16%검소, 4년 만에 감소
보조금 경쟁이 공급 과잉 불러

반도체 업황 부진으로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설비투자 규모가 4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삼성전자 TSMC SK하이닉스 등 세계 10대 반도체기업의 올해 설비투자 규모가 1220억달러(약 164조원)
지난해보다 16% 감소할 전망

10대 반도체기업의 설비투자 규모가 줄어든 것은 2019년 이후 4년 만이다.

감소폭은 최근 10년 새 가장 크다.

스마트폰에 쓰이는 메모리 반도체의 투자 규모가 같은 기간 44%, 감소
PC와 데이터센터에 사용되는 연산용 반도체 투자가 14% 급감할 전망
*니혼게이자이신문 8월 21일 보도



2

반도체기업이 설비투자를 줄이는 이유


시장이 공급 과잉 상태에 접어들었기 때문
최근 수년간 주요국이 대규모 보조금을 내걸고 반도체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쟁탈전을 벌인 결과

3

9대 반도체기업의 재고자산(6월 말 기준)은 889억달러, 1년 전보다 10%가량 증가

세계적으로 반도체 부족이 심각하던 2020년에 비해 재고자산이 70%가량 급증

시장조사회사 옴디아의 미나미카와 아키라 선임컨설턴트
“회로 선폭 10~14㎚(나노미터·1㎚=10억분의 1m)급 반도체의 공급 과잉이 심각하다는 우려가 있다”

재고 조정을 위해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는 내년 반도체 생산을 30% 축소. 설비투자도 40% 축소할 방침.

SK하이닉스도 투자 규모를 지난해보다 50% 이상 축소 계획


4

반도체 거래가격은 하락세


코로나19 특수’를 누리던 메모리 반도체는 작년 여름부터 공급 과잉 상태, 가격이 내려가고 있다.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도 지난해보다 40% 이상 하락

글로벌 반도체 재고 '산더미'…10대 기업, 올해 투자 줄인다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반도체 업황 부진으로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설비투자 규모가 4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니혼게이자이신

n.news.naver.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