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5일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을 주제로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개최
2047년까지 622조원의 민간 투자를 통해 경기 평택·화성·용인·이천·안성·성남·판교·수원 일대에 반도체 생산공장 13개, 연구시설 3개를 신설한다.
현재 이 일대에 있는 생산공장 19개, 연구시설 2개에 버금가는 규모가 추가되는 셈이다.
1차로 2027년에는 생산공장 3곳과 연구시설 2곳이 완공된다.
구체적으로는 삼성전자가 용인에 360조원, 평택에 120조원을 투자하고, SK하이닉스는 용인에 122조원을 투입한다.
삼성전자는 기흥 R&D(연구·개발) 센터에 연구시설 3기도 20조원을 들여 새로 만든다.
<경기도 반도체 메가클러스터>
경기 남부권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는 2102만㎡ 면적에 2030년 기준 월 웨이퍼 770만장을 생산하게 되는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 생산단지다.
정부 관계자는 “반도체 기업, 소부장 업체, 공공 연구소, 대학이 위치한 메가 클러스터에서 고대역폭 메모리 반도체(HBM) 등 최첨단 메모리 생산과 2nm(나노미터) 이하 공정기반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를 조성해 세계 최고 반도체 생산기지를 조성할 계획”이라며 “생산유발 효과가 650조원에 이를 전망”이라고 말했다.
실제 반도체 산업은 11년 연속 수출 1위를 달리고 있고 지난해 기준 국내 수출의 약 16%를 차지
반도체산업이 생산을 위한 대규모 제조시설과 전후방 밸류체인을 갖추고 있어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미국 대만 일본 등은 반도체 주도권 확보를 위해 대규모 보조금, 세액공제 등 가능한 수단을 총동원해 대규모 클러스터 구축
반도체산업, 2047년까지 총 622조원의 민간 투자, 총 16개(생산팹 13개, 연구팹 3개)의 신규팹 신설 예정.
반도체산업, 2047년까지 총 622조원의 민간 투자, 총 16개(생산팹 13개, 연구팹 3개)의 신규팹 신설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 경기 평택·화성·용인·이천·안성·성남 판교·수원 등 경기 남부 밀집 - 현재 19개의 생산팹과 2개의 연구팹이 집적. - 2047년까지 총 622조원의 민간 투자, 총 16개(생산팹 13
meowk.tistory.com
삼성전자가 총 500조원 투자
현재 19개의 생산팹이 가동 중인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에는
2024년부터 2047년까지 총 622조원의 민간 투자가 이뤄져 연구팹 3개 포함 모두 16개 신규 팹이 추가로 들어선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반도체 메가 클러스트 투자내용
투자내역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각각 용인 남사와 용인 원삼에 신규 조성 중인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와 메모리 클러스터에 360조원, 122조원 규모다.
이 외에 삼성전자는 고덕 반도체 캠퍼스 증설에 120조원, 기흥 차세대 반도체 연구개발(R&D) 단지 증설에 20조원을 추가 투자할 계획이다
반도체 622조 투자… 메가클러스터 구축
2030년 톱50 팹리스 기업 1→10개
공급망 자립률 30 →50% 제고
2027년 소부장 양산 시험설비 완공
올해 반도체 예산 1조3000억원
정책금융 2026년까지 3년간 24조원 투입
공급망 자립률 30→50%…1조 클럽 기업 4→10개
판교 화성 용인 이천 안성 수원 … 세계 최대 반도체클러스터 조성
정부, 전력·용수·도로 등 인프라 적기 공급 주도 킬러규제 혁파 … 1조클럽 소부장기업 10개 육성
www.naeil.com
2030년 반도체 매출 1조클럽 4→10곳… 민관 총력투자 ‘칩 워’ 승부수
■ 반도체 622조 투자… 메가클러스터 구축 2030년 톱50 팹리스 기업 1→10개 공급망 자립률 30 →50% 제고 2027년 소부장 양산 시험설비 완공 올해 반도체 예산 1조3000억원 정책금융 2026년까지
n.news.naver.com
세계 최대 'K-반도체 클러스터' 622조 투입…일자리 346만개 만든다 | 중앙일보
구체적으로 ①인프라·투자환경 ②생태계 ③초격차 기술 ④인재 등 4대 중점과제를 중심으로 2나노(㎚) 이하 기반 팹리스·파운드리 등 시스템 반도체 전 생태계가 집적된 최첨단 시스템 반도체
www.joongang.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