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내 외국인 251만명…전체 인구 4.9%로 '다문화사회' 진입전

by 좋은사람200 2024. 1. 16.
반응형

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해 역대 최대 근접…불법체류율은 16.9%

영주자격·국제협력 등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차별성 주목

 

인구 대비 외국인 비율 4.89%…본격적인 다문화 사회 앞둬

 

 '2023년 12월 통계월보'에 따르면

2023년 체류 외국인은 250만7천584명으로, 전년보다는 11.7% 증가,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4.89%에 해당한다.

연도별 체류외국인 증감 추이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통계월보.]

 

통상 한 나라의 외국인 비율이 5%를 넘는 경우 다문화 사회로 본다

저출생과 고령화에 따른 인구절벽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한국이 이제 본격적인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을 앞둔 셈이다

 

2021년 기준 총인구 대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비율

충북 음성군(15.9%), 경기 안산시(14.2%), 전남 영암군(14.2%) 등 일부 지역에서는 10%를 넘어서기도 했다.

 

 

 

최근 5년간 인구 대비 체류외국인 현황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통계월보.
최근 5년간 인구 대비 체류외국인 현황

 

 

체류 외국인 수는 2016년 200만명, 2019년 252만명

2022년부터 다시 증가 추세를 보여 외국인 300만명 시대

 

국적별 외국인 수

1위 : 중국(94만2천395명)았다.

2위 : 베트남(27만1천712명),

3위 : 태국(20만2천121명),

4위 : 미국(16만1천895명),

5위 : 우즈베키스탄(8만7천698명) 등 순

 

불법체류 외국인 수

전년 대비 3.0% 증가한 42만3천675명. 

불법체류율은 2021년(19.9%)과 2022년(18.3%)보다 감소한 16.9%

 

외국인 유학생 수

2020년(15만3천361명)부터 최근 4년간 꾸준히 증가해 22만6천507명을 기록했다.

학위 과정 등 유학을 온 외국인이 15만2천94명, 한국어 등 연수를 위해 온 외국인이 7만4천413명이었다.

 

 

5년간 총 2조 3천701억원…외국인정책 기본계획 윤곽

 

https://www.yna.co.kr/view/AKR20240116058851371?input=1195m

 

국내 외국인 251만명…전체 인구 4.9%로 '다문화사회' 목전(종합)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성도현 기자 =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 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 이후 4년 만에 최...

www.yna.co.kr

 

반응형

댓글